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여성가족부 국문사이트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보도자료

상세설명

언론에 배포한 여성가족부의 보도자료 입니다.

이 게시판은 언론에 배포한 여성가족부의 보도자료를 제공합니다.

직장 내 성희롱 경험 지속 감소,성희롱 방지를 위한 피해자 보호와 예방교육 강화 추진

직장 내 성희롱 경험 지속 감소,성희롱 방지를 위한 피해자 보호와 예방교육 강화 추진 내용으로 담당자, 전화번호, 등록일, 조회수, 담당부서, 첨부파일, 내용 정보들을 조회해서 제공

직장 내 성희롱 경험 지속 감소,성희롱 방지를 위한 피해자 보호와 예방교육 강화 추진
담당부서 성폭력방지과 전화번호 02-2100-6392, 6429
등록일 2025-06-09 조회수 246
첨부파일

hwpx 첨부파일 250609_보도자료_2024년 성희롱 실태조사 결과_최종배포본.hwpx  

pdf 첨부파일 250609_보도자료_2024년 성희롱 실태조사 결과_최종배포본.pdf  

jpg 첨부파일 250609_인포_2024 성희롱 실태조사 결과_2.jpg  

jpg 첨부파일 250609_인포_2024 성희롱 실태조사 결과_1.jpg  

직장 내 성희롱 경험 지속 감소,
성희롱 방지를 위한 피해자 보호와 예방교육 강화 추진

 

- 2024년 성희롱 실태조사결과 발표

성희롱 피해 경험 4.3%’21년 대비 0.5%p 감소

성희롱 방지 업무 인지도, 고충상담창구 등 이용 의향, 공정한 사건 처리 기대가 상승

성희롱 피해자 보호, 예방교육 및 조직문화 개선 등 강화 추진

 

 

여성가족부는 9() ‘2024년 성희롱 실태조사(이하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ㅇ 실태조사는 양성평등기본법32조에 따라 3년마다 실시하는 법정 실태조사, 직장 내 성희롱 실태를 파악하여 성희롱 방지 정책 수립과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이번 실태조사는 상시근로자 30인 이상의 전국 공공기관(857) 및 민간사업체(1,828)의 종사자 19,023명을 으로 최근 성희롱 피해 양상 변화2021이후 본격 시행된 사건 통보 및 재발방지대책 수립 의무 성희롱 대응체계 관련 사항을 조사내용에 반영하여 실시하였다.

 

 

2024년 성희롱 실태조사 개요

 

 

 

조 사 명 : 2024년 성희롱 실태조사(국가승인통계 제154018)

법적근거 :양성평등기본법32/ 조사주기: 3

조사대상 :상시근로자 30인 이상 공공기관·민간사업체 직원 및 성희롱 방지 업무담당자

기관유형(개소수)

일반직원

업무담당자

(2,685)

19,023

16,338

2,685

공공기관(857)

5,929

5,072

857

민간사업체(1,828)

13,094

11,266

1,828

조사내용

 

조사 대상자

조사 항목

일반직원

직장 내 조직문화, 성희롱 예방교육, 성희롱 피해 경험, 성희롱 피해 목격 경험, 성희롱 업무부서 인지도, 성희롱 방지를 위한 정책 수요 등

업무담당자

성희롱 관련 업무 운영 현황, 성희롱 예방교육, 성희롱 업무 수행의 어려움, 성희롱 방지를 위한 정책 수요 등

 

조사방법 : 온라인 조사(공공기관) 및 사업체 방문 자기기입식 조사(민간사업체) 병행

(성희롱 정의) 지위를 이용하거나 업무 등과 관련하여 성적 언동 등으로 성적 굴욕감 또는 혐오감을 느끼게 하는 행위또는 성적 언동이나 요구 등에 대한 불응을 이유로 불이익을 주는 것’(붙임1 참조)

 

‘2024년 성희롱 실태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희롱 피해) 지난 3년간의 성희롱 피해 경험률은 4.3%’21년보다 0.5%p 감소하는 등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경향

성희롱 피해 경험률 : (’18) 8.1% (’21) 4.8% (’24) 4.3%

 

- (성희롱 피해 유형) 성희롱 피해 양상(외모 평가 등), 발생 장소(사무실, 회식장소) 등은 지난 실태조사와 유사

 

(2차 피해) 성희롱 피해자의 12.3%2차 피해를 경험하였으며, ’2120.7%보다 8.4%p 감소함.

 

(성희롱 방지 체계) 성희롱 방지 업무(예방지침, 고충상담창구 등)와 관련한 인지도, 고충상담창구 등에 대한 이용 의향, 공정한 사건 처리에 대한 기대’21년 대비 상승

 

(정책 수요) 성희롱 방지를 위해 필요한 정책은 피해자 보호, 조직문화 개선위해 필요한 정책은 성희롱 예방교육 강화라고 가장 많이 응답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보도자료 이전글, 다음글 목록
이전글 「2024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결과 발표
다음글 학교 밖 청소년 건강도 챙기고 상품권도 받고!

  • 부서 :
    여성가족부
    전화번호 :
    02)2100-6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