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여성가족부 국문사이트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정책뉴스

지역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양성평등 정책 - 전북 양성평등센터 현장 의견 청취

지역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양성평등 정책 - 전북 양성평등센터 현장 의견 청취 내용으로 담당부서,이름,전화번호,작성일 정보들을 조회해서 제공

지역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양성평등 정책 - 전북 양성평등센터 현장 의견 청취
담당부서 성별영향평가과
전화번호 02-2100-6172 작성일 2025-04-10

지역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양성평등 정책에 귀 기울인다

- 10일(목), 전북특별자치도 양성평등센터 찾아 현장 의견 청취 -


여성가족부는 10일(목) 오후 전북특별자치도 양성평등센터(전북 전주시 소재, 이하 전북센터)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지역 정책에 대한 양성평등 현황점검(모니터링) 사례를 검토하고 지역 주민의 양성평등 의식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지역 주민과 함께 전북 소재 박물관 등의 전시물홍보물양성평등 관점에서 점검한 구체적인 경험을 공유하고 활동 중 느낀 점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습니다.

여성가족부는 인천·경북 등 6개 양성평등 센터를 활용해 지역 수요를 반영한 찾아가는 양성평등 교육, 지역 주민이 참여하는 지역 정책 현황점검(모니터링), 일생활 균형조직문화 등을 주제청년들과 소통하는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방문하는 전북센터는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 결혼이주여성의 사회 적응 지원 등 시·군수요를 반영한 양성평등 정책 우수 사례발굴하여 사업 추진에 필요한 자문교육 등을 지원하고,

‘청년, 기후위기’ 등 국민의 일상밀접한 문제를 다룬 영화소재로 주민들이 함께 지역 사회 내 청년의 역할, 환경 보호 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양성평등 문화를 친근하게 접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합니다.

또한, 올해에는 지자체·지방공기업 등 공공부문의 양성평등 조직문화 진단 결과를 활용한 맞춤형 콘텐츠 개발 및 교육 등 조직문화 개선을 돕기 위한 시범사업을 추진합니다.

조민경 여성가족부 여성정책국장은 “양성평등센터는 주민함께 지역 정책 우수 사례발굴하고, 교육 및 활동 등을 통해 양성평등 인식 개선을 위해 노력해 왔다.”라며


“앞으로도 정부 정책 연계하여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의 사업발굴하고 지자체와 협력하여 사업이 안정적으로 추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라고 밝혔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정책뉴스의 이전글 다음글

정책뉴스의 이전글 다음글 목록을 조회해서 제공

이전글 청소년 방과후 프로그램, 현장 소통 강화로 정책효과 높인다!
다음글 「2024 디지털성범죄피해자 지원보고서」 발간

  • 부서 :
    여성가족부
    전화번호 :
    02)2100-6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