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여성가족부 국문사이트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정책뉴스

청소년의 고립·은둔 예방과 지원을 위한 캠페인 진행

청소년의 고립·은둔 예방과 지원을 위한 캠페인 진행 내용으로 담당부서,이름,전화번호,작성일 정보들을 조회해서 제공

청소년의 고립·은둔 예방과 지원을 위한 캠페인 진행
담당부서 학교밖청소년지원과
전화번호 02-2100-6316 작성일 2025-04-01

우리 동네 편의점에서

고립·은둔 청소년 상담 번호 확인하세요!

- CU(씨유), GS25(지에스25), 세븐일레븐, 이마트24, 씨스페이스24

전국 5만5천여 개 편의점, 고립·은둔 청소년 지원 위해 나서

- 18일(금) 까지 ‘청소년 고립·은둔 예방’ 국민 참여 행사 진행

여성가족부는 (사)한국편의점산업협회(회장 정춘호, 이하 ‘협회’) 및 5개 회원사*와 함께 지난해에 이어 청소년의 고립·은둔 예방과 지원을 위한 캠페인을 진행합니다.

* BGF리테일(CU, 대표 민승배), GS리테일(GS25,편의점사업부장 정춘호), 코리아세븐(세븐일레븐, 대표 김홍철), 이마트24(이마트24, 대표 송만준), 씨스페이시스(씨스페이스24, 대표 이은용)

동네 가까운 곳에서 언제든 찾을 수 있는 편의점은 청소년들이 일상에서 자주 이용하고 접근성이 뛰어나 고립·은둔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모으고 정부 지원 사업*을 알리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사업 내용: 전국 12개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꿈드림센터)를 중심으로 고립‧은둔 청소년 발견부터 상담, 학습, 회복·치유, 사후관리까지 맞춤형 지원(’24.3월~)

4월 1일부터 전국 편의점 매장 내 양방향 계산기(POS) 화면을 통해 고립‧은둔 청소년 지원 사업과 상담 번호(‘청소년상담1388’)를 안내하는 한편, 오는 18일까지 누리 소통망(SNS)에서「청소년 고립·은둔 예방 캠페인」 국민 참여 행사(이벤트)*도 진행됩니다.

* 전국 편의점 매장 내에서 송출되고 있는 사업 홍보물(웹포스터)을 촬영하여 핵심어 표시(해시태그) ‘#고립은둔 #나와함께’와 함께 본인 누리 소통망(SNS)에 올린 후 인증하면 총 300명을 추첨하여 편의점 상품권 지급

또한,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지역사회에서 고립‧은둔 등 위기청소년 보호‧지원 활동에 참여를 희망하는 편의점주를 ‘1388청소년지원단’ 단원으로 위촉하여, 지역 내 위기청소년 지원망을 더욱 견고히 할 계획입니다.

* 1388청소년지원단: 지역사회 약국, 병원, 택시, 학원, 변호사 등 위기청소년 조기 발견·지원을 위한 지역단위 자발적 민간 참여조직(’24.3월말 기준 4만8천여 명 참여 중)

황윤정 여성가족부 청소년가족정책실장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캠페인에 참여해주신 한국편의점산업협회를 비롯한 5개 회원사에 깊이 감사드린다.”라며, “지난 달 발표된 고립․은둔 청소년 실태조사 결과에서 고립·은둔 청소년의 71.7%가 회복의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여성가족부는 청소년들이 고립·은둔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와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포용적 사회 분위기 조성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염규석 한국편의점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올해도 회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여성가족부와 함께 고립·은둔 청소년을 위한 캠페인에 동참하게 된 것을 뜻깊게 생각한다.” 라며, “편의점업계는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들이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사회 공익적 활동에 노력을 기울겠다.” 라고 밝혔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정책뉴스의 이전글 다음글

정책뉴스의 이전글 다음글 목록을 조회해서 제공

이전글 2024년 청소년 매체이용 및 유해환경 실태조사
다음글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구매권 사용처 확대

  • 부서 :
    여성가족부
    전화번호 :
    02)2100-6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