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범위
검색방법
검색기간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안산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방문 및 현장간담회 개최 | |||
---|---|---|---|
담당부서 | 다문화가족과 | ||
전화번호 | 02-2100-6369 | 작성일 | 2025-03-12 |
다문화가족의 자립정착과 자녀성장 지원 강화를 위한 의견 청취 - 12일(수), 안산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방문 및 현장간담회 개최 황윤정 여성가족부 청소년가족정책실장은 12일(수) 오후 안산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찾아 다문화가족 지원 정책 운영현황을 살피고 현장의 의견을 듣습니다.
여성가족부는 전국 기초지자체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족센터 포함)를 통해 다문화가족의 안정적 사회정착과 자립을 위한 종합적 정착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최근 학령기 다문화가족 자녀가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에 맞추어 영유아기 언어발달, 취학전후 기초학습 및 청소년기 진로설계**와 이중언어 학습 지원 등 자녀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 7~18세 다문화가족 자녀 : (’17) 107천명 → (’23) 204천명 ** (기초학습) (’23) 138개소, 미취학·초등 저학년 → (’24) 168개소, 초등 고학년까지 확대 → (’25) 183개소 (진로설계) (’23) 113개소 → (’24) 135개소, 7~18세까지 → (’25) 137개소, 7~24세까지
특히, 2024년에는 다문화 아동·청소년의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활동비 지원 사업*을 신규 운영하여, 약 4만 6천여 명의 다문화 자녀가 도움을 받았습니다. * (교육활동비) 다문화가족 자녀 1인당 초등학생 연 40만원, 중학생 연 50만원, 고등학생 연 60만원 지원 ※ ’25년 신청기간/장소 : ’25.5.2.(금)∼5.30.(금), 7.1(화)~7.31.(목)/가족센터(다문화가족지원센터)
또한 지난해부터 취‧창업을 희망하는 결혼이민자의 특성과 강점을 반영한 맞춤형 직업훈련과정*을 신설하여 결혼이민자가 활발히 경제활동에 참여하도록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 가족센터와 직업교육훈련기관(여성새로일하기센터 운영기관 등)이 협업하여 취업 기초교육부터 직업교육훈련, 일자리 연계까지 전 과정 지원, ’25년 81개 센터, 70개 과정 운영 황윤정 여성가족부 청소년가족정책실장은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족센터), 전문가, 관계기관 등과 유기적인 소통을 통해 다문화가족 지원서비스가 현장에서 더욱 세심하고 효율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
|||
![]() |
|||
이전글 | 양육비 선지급 등 「양육비이행법」 하위법령 입법예고 |
---|---|
다음글 | 2025년 양성평등 조직문화 조성 사업 참여 기관 수요조사 - 공직유관단체까지 지원 대상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