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범위
검색방법
검색기간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28일(월), 2024년 다문화가족 참여회의 개최 | |||
---|---|---|---|
담당부서 | 다문화가족과 | ||
전화번호 | 02-2100-6372 | 작성일 | 2024-10-28 |
28일(월), 2024년 다문화가족 참여회의 개최 - 다문화가족이 바라는 정책, 다문화가족에게 직접 듣는다 여성가족부는 28일(월)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2024년 다문화가족 참여회의를 개최하여, 제7기 참여위원을 위촉하고 다문화가족정책에 대한 생생한 의견을 청취합니다. 다문화가족 참여회의는 다문화가족의 정책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정책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 2015년 발족되었습니다. 참여위원은 결혼이민자, 배우자, 다문화가족 자녀 등 20명으로 구성되며, 이번에 위촉되는 제7기 참여위원은 향후 2년간 활동할 예정입니다. 이번 회의에서는 최근 신설·강화된 다문화가족 맞춤형 지원사업의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개선방안을 논의합니다. 여성가족부는 다문화 아동·청소년의 학력격차 완화*를 위해 ’22년 취학 전·후 기초학습, 청소년기 진로설계 지원 사업을 신설하고 매년 지자체 수요를 조사하여 운영기관과 대상을 확대**해나가고 있습니다. * 고등교육기관 취학률 : 다문화가족 자녀 40.5%, 전체 국민 71.5%(’21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 기초학습 : (’22) 90개소 → (’23) 138개소 → (’24) 168개소 / (’23) 취학 전, 초등 저학년 → (’24) 초등 고학년까지 확대 진로설계 : (’22) 78개소 → (’23) 113개소 → (’24) 143개소 올해에는 저소득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습 기회 확대를 위해 교육활동비*를 신규 지원하고, 이중언어 강점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이중언어 학습프로그램도 신설했습니다. * 교육급여를 받지 않는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 다문화가족의 초·중·고 자녀 대상 교재 구입, 독서실 이용 등에 사용할 수 있는 교육활동비 지원(연간 초등 40만, 중등 50만, 고등 60만원) 또한 한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한 결혼이민자의 경제활동 참여를 돕기 위해 새일센터 등 직업훈련기관과 협력하여 결혼이민자 맞춤형 직업훈련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신영숙 여성가족부 차관은 “다문화가족 참여위원의 실제 경험과 조언을 적극 반영하여 다문화가족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
|||
![]() |
|||
이전글 | 정부, 큐싱(QR코드+피싱) 피해로부터 우리 청소년들을 지키기 위해 적극 나선다 |
---|---|
다음글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제5차 인구비상대책회의 개최 |